전체 글18 표면자재 구분_2 지난 표면자재 구분_1에 이어서 플라스틱계열을 마져 다뤄보겠습니다. ① 플라스틱 계열 1) PVC(Poly Vinyl Chlorde) : 염화비닐 수지의 단독 중합 고분자 물질 - 탄소, 수소, 염소로 구성된 열가소성 수지 - 4대 범용수지(PVC / PE(LD,HD) / PS / PP )중 하나 1-1) PVC 생산공정 구분 생산 방식 비고 원지생산 Calender 인쇄 그라비아 인쇄 3도 인쇄 코팅 롤 코팅 우레탄 코팅 엠보싱 롤 엠보싱 나무 엠보, 가죽 엠보 등 1-2) PVC 종류 및 용도 ① 일반용 : 가소제 함량이 적어 연신율이 10% 정도인 PVC. 일반적인 두께가 0.12mm~0.2mm (Wrapping, Overlay 용도로 사용) ② 성형용 : 가소제 함량이 많아 연신율이 70% 정도인.. 2020. 9. 29. 표면자재 구분_1 1) 표면자재는 원단 소재에 따라 크게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구분 정의 종류 비고 나무계열 원단 소재가 나무인 표면자재 원목 무늬목 > 원목을 집성 > 원목을 얇게 깎아서 생산 종이계열 원단 소재가 종이인 표면자재 CPR, Finish Foil LPM HPM,CPL > 종이 위에 코팅 > 종이에 수지 함침 > 종이에 수지 함침 후 프레스 플라스틱계열 원단 소재가 플라스틱인 표면자재 PVC, PP PET, ABS, ASA PMMA, UP > Calender 압연 > T-Die 압출 > Casting 금속계열 원단 소재가 금속인 표면자재 Steel Stainless Aluminum 2) 위 4가지 표면자재 이외에도 가죽, 천, 세라믹과 같은 소재들을 가구의 표면자재로 사용할 수 있다. 3) 다만 현대의.. 2020. 9. 25. 자재_표면자재 이번에는 원자재에 이어서 원자재를 감싸는 표면자재를 다루겠습니다. 표면자재는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코어자재 표면에 접착이 되어 가구의 외관(색상 및 패턴)을 아름답게 꾸미는 자재로 무늬목과 가은 나무계열, Coating Paper와 같은 종이계열, ABS/PET와 같은 플라스틱계열, Stainless/Aluminum과 같은 금속계열 등 다양한 표면자재가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표면자재는 다음과 같은 생산공정에 의해 대부분 생산된다. ①원단생산 -> ②인쇄 -> ③Coating -> ④Embossing ①원단생산 1) 나무계열 - 원목을 종이처럼 얇게 깎아서 생산 - 나의계열의 대표적인 표면자재는 무늬목 - 무늬목은 일반적으로 나무 무늬결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인쇄를 하지 않고 사용 2) 종이계열 - 원.. 2020. 9. 23. 원자재_코어재 분류 먼저 자재의 종류는 원자재와 부자재로 나눌 수 있다. 원자재는 가구 제작시, 가구의 형태를 이루는데 주가 되는 자재로 가구가 다양한 수납물을 수납할 수 있게끔 가구의 골격을 이루는 코어(Core)자재와 코어(Core)자재 표면에 접착이 되어 가구를 아름답게 치장하는 표면자재로 구성된다. 부자재는 원자재(코어재,표면자재)를 제외한 모든 자재를 통칭하며, 한샘에서는 크게 다음과 같은 자재들을 부자재로 통칭한다. 1) 문짝 및 몸통의 재단 면을 마감하는 Edge 2) 문짝을 몸통과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Hinge(경첩) 3) 몸통 부품(천판,지판,측판,선반)을 조립하는데 사용되는 나사못과 같은 조립철물 4) 몸통과 서랍을 조립하는데 사용되는 서랍레일이 존재한다. 오늘 다룰 코어자재는 가구의 본 기능인 수납기능이.. 2020. 9. 18.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