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ANSSEM

표면자재 구분_1

by 박성우우우 2020. 9. 25.

1) 표면자재는 원단 소재에 따라 크게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구분 정의 종류 비고
나무계열 원단 소재가 나무인 표면자재 원목
무늬목
> 원목을 집성
> 원목을 얇게 깎아서 생산
종이계열 원단 소재가 종이인 표면자재 CPR, Finish Foil
LPM
HPM,CPL
> 종이 위에 코팅
> 종이에 수지 함침
> 종이에 수지 함침 후 프레스
플라스틱계열 원단 소재가 플라스틱인 표면자재 PVC, PP
PET, ABS, ASA
PMMA, UP
> Calender 압연
> T-Die 압출
> Casting
금속계열 원단 소재가 금속인 표면자재 Steel
Stainless
Aluminum
 

2) 위 4가지 표면자재 이외에도 가죽, 천, 세라믹과 같은 소재들을 가구의 표면자재로 사용할 수 있다.

 

3) 다만 현대의 가구산업은 대량생산, 대량소비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대량으로 가구를 생산하기 위해서 접착이 쉽고, 자르기 쉽고, 구멍 뚫기 쉬운 표면자재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ex 대부분

도어 : PP / PET / ASA / LPM / HPM 사용

몸통, 뒷판 : CPR 사용 (*한샘의 키친바흐는 Finish Foil사용))

 

4) 현재 가구산업에서 주로 사용하는 표면자재는 금속계열을 제외하고 나무, 종이, 플라스틱 계열을 사용한다.



① 나무계열

원목, 무늬목 특징

- 가구의 재료로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자재

- 천연 목재의 질감과 자연미를 살릴 수 있으나, 재단 및 보링 가공성이 좋지 않으며, 수분(습기)에 의해 변형도기 쉬운 단점을 가진다.

- 색상의 균일성, 함수율(건조품질), 옹이의 유무 등에 의해 원목 품질이 결정됨

- 가구용 자재로 사용되는 주요 원목으로 오크, 체리, 메이플, 월넛, 버찌 등이 있다.

구분 특징
Oak(오크) 참나무.
가장 단단함.
무늬결, 색상 등이 가장 자연스러워서 대중적이며
유행을 타지 않는다.
Cherry(체리) 벚나무.
화려한 붉은 색감을 가짐.
나무의 무늬결이 강하게 살아있어 고급스러움을 살리는데 주로 사용
Maple(메이플) 단풍나무.
가장 밝고, 산뜻한 색상이라 색상관리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
Walnut(월넛) 호두나무.
짙은 고동색 색감.
중후한 분위기를 연출하는데 주로 사용
Birch(버찌) 자작나무.
자작의 둥근 무늬결과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색감으로 실내 내부의 어떤 배색과도 잘어울림

 


 

② 종이계열

1) CPR(Coating Paper) 

: 종이 평량이 30g/인 박엽지에 인쇄를 하고 폴리우레탄 수지로 코팅을 한 표면자재

**종이평량 = 단위면적()당 종이의 무게

**박엽지 = 종이 평량이 작은 얇은 종이

 

1-1) CPR 생산공정

구분 생산 방식 비고
원지생산 초지기 종이 평량 30g/
인쇄 그라비아 인쇄 3도 인쇄
코팅 롤 코팅 폴리우레탄 수지 코팅

1-2) CPR 적용 품목 : 몸통용 표면자재

용도 부엌 몸통 수납 몸통 뒷판용
폴리우레탄 코팅 g수 12g/ 8g/ 5g/

특징 -> 광이 많이나기 때문에 인위적인느낌이 발생, 가격이 저렴


2) Finish Foil

: 종이 평량이 60g/㎡ 이상인 후엽지 위에 인쇄를 하고, 그 위에 수성 아크릴(우레탄) 수지를 함침, 건조한 후 다시 그 위에 수성 아크릴(우레탄) 수지를 코팅 한 표면자재

**후엽지 = 종이 평량이 큰 두꺼운 종이

 

2-1) Finish Foil 생산공정

구분 생산 방식 비고
원지생산 초지기 종이 평량 60g/㎡ 이상
인쇄 그라비아 인쇄 3도 인쇄
함침 롤 함침 수성 아크릴(우레탄) 수지
코팅 롤 코팅 수성 아크릴(우레탄) 수지

2-2) 적용품목 : 수납 도어용 표면자재, 고가 오픈장(ex 키친바흐) 몸통용 표면자재

 

특징 -> 함침공정을 거치기 때문에 자연스럼움을 연출하여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


3) LPM(Low Pressure Melamine)

: 종이 평량이 80g/㎡ 이상인 후엽지 위에 인쇄를 하고, 그 위에 수성 요소(멜라민)수지를 함침, 건조한 표면자재

 

3-1) LPM 생산공정

구분 생산 방식 비고
원지생산 초지기 종이 평량 80g/㎡ 이상
인쇄 그라비아 인쇄 3도 인쇄
함침 롤 함침 수성요소(멜라민) 수지

3-2) LPM 성형

- SCP(Short Cycle Press)에서 열압 성형

- 종이에 함침되어 있는 요소(멜라민)수지가 접착제 역할 -> 별도의 접착제가 필요없음

 

3-3) LPM 구분

- 종이(Paper)의 단위면적 당 무게인 평량(g/)으로 구분

- 종이 원지 무게가 80g/㎡. 90g/㎡,100g/㎡,120g/㎡인 LPM이 일반적

 

3-4) LPM 적용품목

- 부엌/수납 도어용 표면자재, 책상/거실장 상판용 표면자재

 

3-5) LPM 장단점

장점 단점
- 종이에 인쇄하기 때문에 인쇄품질이 우수
- 요소(멜라민)수지 함침 후 열압 성형을 통해 내스크레치성, 내마모성이 우수
고온, 고압성형
- 자재 냉각에 오랜 시간 필요
(동절기 7일, 하절기 15일 이상)
- 냉각 前 자재 재단 시 휨, 뒤틀림과 같은 변형 발생

4) HPM(High Pressure Melamine)

: 종이 평량이 80g/㎡ 이상인 후엽지(Decor & Kraft)에 열경화성 수지(멜라민, 페놀)를 함침, 건조 한 후 Sheet형태로 재단한 다음, 수지 함침 종이를 여러 장 적층하여 고온 고압으로 프레스를 해 만든 표면자재

- 모양지(Decor Paper) 함침 수지 : 멜라민 수지

- 크라프트지(Kraft Paper) 함침 수지 : 페놀 수지

 

4-1) HPM 생산공정

구분 생산 방식 비고
원지생산 초지기 종이 평량 80g/㎡ 이상
인쇄 그라비아 인쇄 3도 인쇄
함침 롤 함침 멜라민 수지, 페놀 수지
프레스 열압 다단 프레스 100kgf/㎠ 압력으로 프레스

4-2) HPM 구조

 

① 보호지(Overlay Paper) : 모양지 인쇄층 보호

② 모양지(Decor Paper) : HPM색상 및 패턴이 인쇄된 종이

③ 차폐지(Underlay Paper) : 크라프트지의 어두운 색상 차단

크라프트지 (Core Paper) : HPM두께를 조절

 

 

 

 

4-3) HPM 구분

구분 세부 내용 비고
두께 - 0.5T HPM, 0.8T HPM이 일반적

* Post-Form용 HPM

용도 - 평판용, Post-Form용
- Post-Form용 HPM
: 좌우 R가공 접착이 가능한 HPM

 

4-4) HPM 장단점

장점 단점
- 내오염성, 내후성 우수
- 내스크레치성, 내마모성 우수
- 내열성 우수(불에 대한 저항력 우수)
- 내약품성, 내용제성 우수
- 가격이 고가
( HPM : \13,000/매 (0.8T 기준)
  LPM : \3,800/a매 (80g/㎡기준 )

 

4-5) HPM용도

: 부엌 상판, 식탁 상판, 거실장 상판, 책상 상판

 

4-6) HPM 적용 시 필수 고려사항

- HPM의 경우 Core 자재 전면과 후면에 동일한 두께의 HPM을 반드시 접착해 주어야 한다.

- 전면에 HPM, 후면에 HPM이외의 표면자재를 접착하거나 전면과 후면에 두께가 동일하지 않은 HPM을 접착할 경우

100% 휨 불량이 발생한다.

 


5) CPL(Continuous Press Laminate)

: 종이 평량이 80g/㎡ 이상인 후엽지(Decor & Kraft)에 열경화성 수지(멜라민, 페놀)를 함침, 건조 한 후, Roll 형태의 수지 함침 종이 여러장을 한번에 적층하여 Continuous Press에서 고온 고압으로 열압 해 만든 표면자재

- 모양지(Decor Paper) 함침 수지 : 멜라민 수지

- 크라프트지(Kraft Paper) 함침 수지 : 페놀 수지

 

5-1) CPL 생산공정

구분 생산 방식 비고
원지생산 초지기 종이 평량 80g/㎡ 이상
인쇄 그라비아 인쇄 3도 인쇄
함침 롤 함침 멜라민 수지, 페놀 수지
프레스 Continuous Press 100kgf/㎠ 압력으로 프레스

 

5-2) CPL 구조

 

 

① 보호지(Overlay Paper) : 모양지 인쇄층 보호

② 모양지(Decor Paper) : CPL색상 및 패턴이 인쇄된 종이

③ 코어지(Core Paper) : CPL두께 조절

 

 

 

 


 

이번 포스팅은 표면자재 원단 소재에 4가지로 분류하고 분류 기준에 따라 나무계열과 종이계열의 표면자재의 종류와 그 특징들을 다뤘다. 분량이 많아 플라스틱계열과 금속계열의 종류 및 특징은 다음 표면자재 구분_2에 정리하겠습니다.

 

'HANSS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면자재 구분_2  (1) 2020.09.29
자재_표면자재  (0) 2020.09.23
원자재_코어재 분류  (0) 2020.09.18
업무 프로세스  (0) 2020.09.18
한샘 생활환경기술연구소 업무  (0) 2020.09.18

댓글